공무원 봉급표는 직종별 기본급과 수당 체계를 정리해 놓은 기준표로, 매년 정부 예산과 물가·경제 상황을 반영하여 조정됩니다. 특히 일반직 공무원, 교사, 경찰, 소방직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업무를 담당하는 직종으로, 안정된 급여 체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봉급표는 직급과 호봉에 따라 세부적으로 달라지며, 근속연수와 직무 특성에 따라 추가 수당이 더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교원 봉급표,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직공무원봉급표보기
교사 봉급표보기
경찰공무원봉급표보기
소방공무원봉급표보기

위 버튼 누르시면 자세한 정보 블로그로 이동합니다

1.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일반직 공무원은 행정·기술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 행정을 담당합니다.

  • 기본 구조: 9급~1급까지 직급 체계가 있으며, 호봉에 따라 기본급이 상승합니다.

  • 급여 특징: 초임 9급 공무원의 경우 호봉이 낮아도 안정적인 기본급이 보장되고, 근속연수에 따른 승급으로 꾸준히 급여가 인상됩니다.

  • 수당: 가족수당, 직급보조비, 정근수당, 명절휴가비 등 복리후생 차원의 다양한 수당이 지급됩니다.






2. 교사(교육공무원) 봉급표

교사는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등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 기본 구조: 교원은 교사→교감→교장으로 승진 구조가 있으며, 같은 교사라도 경력에 따른 호봉으로 기본급이 차등 지급됩니다.

  • 급여 특징: 교직 특성을 반영하여 교직수당, 담임수당, 보직수당 등 교육 활동과 관련된 수당이 추가됩니다.

  • 장점: 정기적인 호봉 승급과 함께 장기 근속 시 안정적인 급여 상승이 가능하며, 방학 중에도 급여가 동일하게 지급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3.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

경찰과 소방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특수직 공무원으로, 일반 행정직과 다른 봉급 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 경찰 봉급: 순경에서 시작하여 경무관, 치안총감까지 계급이 나뉘며, 현장 위험성과 직무 강도를 반영한 위험근무수당, 특수근무수당이 추가됩니다.

  • 소방 봉급: 소방사에서 소방총감까지 계급이 있으며, 화재·재난 현장 활동을 고려해 화재진압수당, 특수업무수당 등이 지급됩니다.

  • 공통점: 경찰과 소방은 교대근무와 위험 업무가 많아 기본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과 초과근무수당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이렇게 직종별로 봉급표를 나누어 보면, 일반직은 행정 안정성, 교사는 교육 활동 지원, 경찰·소방은 위험 보상 강화라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